티스토리 뷰
오늘은 결핵 증상 전염성 (ft. 예방법, 치료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C O N T E N T S
-
결핵이란?
-
결핵 초기증상
-
결핵의 다른 증상
-
결핵 발생 위험요소
-
결핵의 전염성
-
결핵을 예방
-
결핵 치료방법
-
결핵 합병증
1. 결핵이란?
결핵(Tuberculosis)은 신체가 결핵균에 의해 감염이 된 상태를 말하며, 체내의 다양한 기관에서 결핵균 감염이 발생할 수 있으나 주로 폐에 발생하게 됩니다. 보통 결핵은 두가지 종류로 나누게 되는데, 두가지가 바로 잠복결핵(Latent tuberculosis)과 활성결핵(Active tuberculosis)입니다. 잠복결핵은 결핵균에 감염되었다고 하더라도 결핵균이 활발하게 활동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잠복결핵 환자들은 어떠한 증상도 경험하지 않고 잠복결핵 상태에서는 전염성이 없지만 활동결핵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활동결핵 환자들은 결핵 증상을 경험하게 되고, 다른 사람의 결핵 감염을 유발할 수가 있습니다. 통계에 따르면, 세계 인구의 대략 1/3이 잠복결핵이 있다고 합니다. 잠복결핵이 활성결핵으로 진행될 확률은 10%로 낮으나, 에이즈 환자나 영양실조 환자, 흡연자들 같이 면역력이 떨어진 사람들에게선 이 위험이 훨씬 높습니다. 결핵은 전세계적으로 발생하는 질환이며,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하며, 보통 개발도상국에사는 젊은 사람들에게 발생을 하는 경향이 있으나 우리나라는 선진국의 반열에 들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결핵 환자가 많습니다.
2. 결핵 초기증상
질병관리본부에 의하면 결핵의 초기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아프거나 몸에 힘이 빠진 느낌
- 식욕 감소
- 설명되지 않은 체중 감소
- 3주 이상 지속이 되는 심한 기침
- 가슴 통증
앞서 설명드렸듯이 폐 외의 다른 장기에도 결핵균의 감염이 발생할 수가 있습니다. 결핵은 감염된 부위에 따라 증상이 달라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3. 결핵의 다른 증상
잠복결핵 환자들은 어떠한 증상도 경험을 하지 않습니다. 잠복결핵이 활성결핵으로 진행되어 폐에 감염이 발생을 한다면 기침과 미열과 같은 증상이 발생합니다. 또한 폐결핵을 적절히 조치하지 않는다면 결핵균이 혈관을 타고 신체의 다른 부분으로 확산될 수 있습니다. 감염된 부분에 따른 결핵 증상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뼈 : 척추의 통증과 골절이 발생을 할 수 있습니다.
뇌 : 뇌수막염으로 진행이 되어 두통, 열, 어지러움 등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신장 : 신장의 여과의 기능이 손상되어서 혈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심장 : 펌프질을 하는 능력이 저하될 수가 있으며, 심낭 압전 (Cardiac tamponade)란 심각한 상태로 이어질 수가 있습니다.
4. 결핵 발생 위험요소
면역력이 약한 사람들은 결핵에 걸리게 될 위험이 높습니다. 예를 들어, 에이즈를 유발하는 HIV에 감염이 된 경우 신체가 적절하게 결핵균에 대처를 하지 못합니다. HIV에 감염된 사람은 HIV에 감염되지 않은 사람들보다 대략 20~30% 정도 활동결핵이 발생을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담배의 사용 역시 활성결핵의 발병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결핵환자의 대략 8%는 흡연과 관련되어 있는 것이라 여겨지고 있습니다. 또한 다음과 같은 요소들은 결핵 발생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 당뇨병
- 암
- 영양실조
- 신장질환
- 암치료를 받고 있는 사람들
- 어리거나 나이가 많은 사람들
- 결핵이 흔하게 발생을 하는 나라로 여행을 다녀온 사람들
5. 결핵의 전염성
결핵은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에 의해서 발생하고, 결핵 환자들이 기침, 재채기, 침을 뱉는다거나 웃거나 말할 때에 공기를 통해 전염됩니다. 위와 같은 행동을 하면 0.5에서 5㎛의 침방울(Droplet)들이 대기중으로 퍼지게 되고, 한번의 재채기를 통해서 대략 4만개의 침방울들이 발생하게 된다고 합니다. 약 10마리의 결핵균에 의해서도 전염이 발생을 할 수 있기에 한 개의 침방울이라도 치명적입니다.
또한 전염성이 있지만 잠복기가 있기에 전염을 완전히 예방하기가 쉽지 않고, 낯선 사람들에게서 전염이 되기보단 같이 살거나 같이 일하는 사람으로부터 전염이 될 확률이 훨씬 높습니다. 지속적이고 자주 그리고 가깝게 지내고 있는 사람이 결핵 환자라면, 본인도 결핵균에 감염이 될 확률이 22%에 이른다고 합니다. 연구에 따르면, 결핵 환자라고 할지라도 2주 동안 치료를 받으면 대부분 전염성이 없다고 합니다.
6. 결핵을 예방
본인이 결핵을 앓고 있다면 마스크의 착용을 통해서 결핵균이 다른 사람들에게 전파가 되는 위험을 줄이도록 합니다. 활성결핵에 해당이 된다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조치를 취하여 결핵의 확산을 예방하도록 합니다.
- 활성결핵에 해당된다면 학교나 직장에 가지를 않도록 합니다
- 같은 방을 사용하는 사람들과 떨어지도록 하여 결핵균에 다른 사람에게 전염이 되는 위험을 최소화 하도록 합니다
- 마스크를 씁니다
-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는 입을 가려주도록 합니다
- 방을 자주 환기하도록 합니다
- 금연합니다
- 결핵 예방접종을 맞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결핵 예방접종을 위하여 BCG라는 백신을 투여하도록 합니다. 하지만 성인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데 효과가 없으며 피부 테스트 진단 결과에 악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7. 결핵 치료방법
결핵도 일종의 세균이기 때문에 항생제를 통하여 치료합니다. 적절한 약을 적정기간을 투여해야 완치될 수가 있기 때문에 의사선생님의 말을 잘 들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항생제의 종류와 치료 기간은 개인의 나이와 전반적인 건강, 약물에 대한 결핵균 내성, 결핵 종류(잠복결핵 혹은 활성결핵), 결핵균 감염 위치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잠복결핵을 가진 사람들의 경우 한 가지 종류의 항생제가 필요한 반면, 활동결핵 환자들의 경우 보통 4가지 항생제의 조합을 사용을 하게 됩니다.
결핵은 다른 감염 질환과는 다르게 항생제를 오랫동안 복용하게 되고, 표준 복용 기간은 대략 6개월 입니다. 결핵 치료를 위한 항생제들의 경우 다양한 부작용이 있고, 대표적으로 간독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부작용이 흔하게 발생하지 않지만, 발생할 경우에는 상당히 심각할 수 있기에 꾸준한 병원 방문이 필요합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담당 의사선생님께 문의하시기를 바랍니다.
- 검은색 소변
- 열
- 황달
- 식욕감소
- 메스꺼움 또는 구토
8. 결핵 합병증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는 경우에는 결핵은 목숨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결핵은 주로 폐에 발생하나 혈관을 타고 확산되어서 다음과 같은 합병증을 일으킬 수가 있습니다.
- 뇌수막염 : 뇌를 덮고 있는 막에서 염증이 발생한 상태로 막이 부풀어 오르게 될 수 있습니다.
- 척추통증
- 과절 손상
- 간손상
- 신장손상
- 심장질환
추천글
혈관 청소에 좋은 음식 9가지 총정리!
오늘은 혈관 청소에 좋은 음식 9가지 총정리!에 대해 알아보겠다. ○ C O N T E N T S 부추 미역, 다시마 두부 꽁치 당근 녹차 가루 카레 가루 생강 검은깨 깨끗하고 맑은 혈액은 건강한 신체를 가지
hodeuo.hodites.com
간수치가 높으면 나타나는 증상 (ft. 낮추는 음식)
오늘은 간수치가 높으면 나타나는 증상 (ft. 낮추는 음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리 몸에서 간은 에너지 관리센터의 역할을 맡고 있는 정말로 중요한 장기예요. 영양소들을 저장하거나 분배
hodeuo.hodites.com
단백질 많은 음식 9가지 완벽정리!
오늘은 단백질 많은 음식 9가지 완벽정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단백질 많은 음식과 그 효능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평소 단백질 많은 육류와 해산물, 콩 등의 음식을 고루 섭취를 할 경우
hodeuo.hodites.com
장염 빨리 낫는 법 (ft. 증상, 예방방법)
오늘은 장염 빨리 낫는 법 (ft. 예방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쉽게 볼 수 있는 질환이나 극심한 고통에 시달리게 되는 증상이라 꼽을 수 있는 것이 바로 장염입니다. 장염은 누구나 걸릴 수
hodeuo.hodites.com
이상 결핵 증상 전염성 (ft. 예방법, 치료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